이전에 리버스 프록시 기능을 공부할 목적으로 Nginx 웹서버를 설치해서 테스트 했었는데, 이제 필요 없게 되어 삭제하며 체크한 내용들을 적어놓는다. 서비스 상태 확인 sudo systemctl status nginx Nginx 서버 정지 1. Stop the service sudo systemctl stop nginx 2. Disable service auto start after OS reboot 서버가 재부팅될 때 자동으로 실행되는 데몬 서비스들이 있는데 여기서 Nginx를 제거함. sudo systemctl disable nginx 3. Check whether the update has been applied disable이라고 출력되면 이제 재부팅 이후에도 자동으로 서비스가 실행되지 않음. s..
설치 환경 Host PC: Apple Silicon(M1 Pro) MacOS Docker Desktop & CLI DB Image: PostgreSQL 14.6 DB Client: DBeaver DB와 관련해서 이것 저것 테스트할 게 많은데, 운영중인 DB 서버에다가 직접 테스트 하기는 혹시 모를 에러나 사고가 염려되기도 해서 결국 맥북에 PostgreSQL을 설치하기로 했다. 일단 목표는 Docker로 PostgreSQL을 설치해서 실제 DB 서버에서 백업한 파일을 복구, 안전하고 가볍게 테스트할 수 있는 환경을 구성하는 것이다. 참고로 Docker는 설치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2023.04.08 - [본업/Docker] - [Docker] 맥에 Docker Desktop 설치 - #1 설치까지만 [D..
이전글 2023.07.27 - [본업/Database] - [PostgreSQL] Ubuntu Linux PostgreSQL 사용법 - #3-2 DBeaver 연결 PostgreSQL의 Backup & Restore에는 세 가지 명령어가 주로 사용된다. pg_dumpall :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전제를 백업 pg_dump : 특정 데이터베이스를 백업 pg_restore : pg_dump 및 pg_dumpall의 백업 파일을 사용해 데이터베이스 또는 클러스터 전제를 복원 각 명령어의 사용은 사실상 다양한 옵션이 붙어 실행되는데, 그 옵션의 수가 매우 많고 다양하여 처음 접했을 때 혼란스러웠다. 이를 처음 공부할때 최대한 빨리 받아들이기 위해 pgAdmin의 GUI를 활용해 백업, 복원할 때를 가정하여 ..
[이전글] 2023.07.24 - [본업/Database] - [PostgreSQL] Ubuntu Linux PostgreSQL 사용법 - #3-1 pgAdmin 연결 About DBeaver https://dbeaver.io/ DBeaver Community | Free Universal Database Tool DBeaver Universal Database Tool DBeaver Community is a free cross-platform database tool for developers, database administrators, analysts, and everyone working with data. It supports all popular SQL databases like MySQL,..
[이전글] 2023.05.30 - [본업/Database] - [PostgreSQL] Ubuntu Linux PostgreSQL 사용법 - #2-2 pg_hba.conf 클라이언트 인증 파일 설정 DB서버를 설치한 이후부터는 DBMS가 제공하는 명령어나 툴(psql, pg_xxxx 등)을 사용하거나 범용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해야 한다. 이 포스팅 시리즈에서는 두 가지만 다룰 것이다 pgAdmin : PostgreSQL 자체 배포툴 DBeaver : 범용 DBMS 클라이언트 툴 특히, PostgreSQL의 경우 pgAdmin이라는 자체 클라이언트가 존재하는데, OS상에서 설치를 통해 사용하거나 아니면 브라우저를 통해 접속할 수도 있다. 나는 자체 설치 어플에 대해서만 다룰 예정이다. Install..
이전글 2023.06.29 - [본업/etc.] - [Git] Git이란? - #2 Git의 주요 특징 Git의 객체 https://git-scm.com/book/en/v2/Git-Internals-Git-Objects Git - Git Objects You will get a different hash value because of different creation time and author data. Moreover, while in principle any commit object can be reproduced precisely given that data, historical details of this book’s construction mean that the printed commi gi..
이전글 2023.06.26 - [본업/etc.] - [Git] Git이란? - #1 일단 git book의 문서를 보고 작성한 내용인데 사실상 번역하고 요약한 정도이니 빠르게 읽고 넘어가도 된다. '차이'가 아닌 '스냅샷' 기존의 VCS들은 위 그림과 같이 시간순으로 연대기적으로 파일들의 집합을 관리하며 이를 일반적으로 '델타 기반 버전 관리 시스템(Delta-based VCS)'이라고 한다. hot)으로 취급한 즉, 현재의 프로젝트 상태를 커밋하거나 저장할 때마다 Git은 그 순간에 모든 파일 시스템이 어떻게 생겼는지를 사진으로 찍어 해당 스냅샷의 참조로 저장한다. 대부분의 작업을 로컬 영역에서 진행 가능 Git은 DVCS이기 때문에 개발자 본인의 로컬 디스크에 프로젝트의 모든 이력이 존재한다. 따라서..
이전글 2023.06.22 - [본업/etc.] - [Git] 버전 관리 시스템의 종류 Git이란? https://git-scm.com/book/en/v2 Git - Book git-scm.com 2005년 Linux의 아버지인 리누스 토발즈가 리눅스 커널 프로젝트를 위해 개발한 분산식 버전 관리 시스템(DVSC; Distributed Version Control System)이다. 현재 개인부터 빅 테크 기업까지 다양한 규모와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버전 관리 시스템이다. Git의 자세한 탄생 배경이나 역사는 여기를 참고. Git의 설계 목표 이전 포스팅들에서 설명했듯이, 모든 VCS는 고유한 탄생 배경,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탄생 배경은 이전에 사용하던 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함인데 Gi..
이전글 2023.06.19 - [본업/etc.] - [Git] 버전 관리 시스템(Version Control System)의 역사? 로컬 버전 관리(Local Version Control) 시스템 가장 기본적인 형태의 버전 관리 시스템이다. 개발자가 하나의 로컬 컴퓨터에서 작업을 수행, 간단한 데이터베이스 등을 사용해 버전을 저장하고 관리한다. 데이터베이스에 파일의 변경 사항이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언제든지 특정 버전으로 복원하고 변경 내역을 확인, 비교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환경은 다수의 개발자가 동시에 협업을 하기 힘들고, 모든 파일, 버전과 같은 데이터가 하나의 로컬 컴퓨터에 저장되기 때문에 데이터 손실의 위험이 매우 크다. 대표적인 예로는 RCS, SCCS 등의 시스템이 있다. 중앙 집중식 ..
이전 글 2023.06.15 - [본업/etc.] - [Git] 버전 관리(Version Control)란? 그리고 목표는? VCS란? 버전 관리 시스템(VCS; Version Control System)의 줄임말로 파일 변경 사항을 시간에 따라 기록하고, 필요할 때 특정 버전을 다시 호출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말한다. RCS(Revision Control System)이라고도 한다. 요즘은 주로 소프트웨어의 소스 코드의 변경 사항을 추적하며, 파일이 언제, 누가, 어떻게 변경되었는지를 기록한다. VCS를 사용하면 개발자의 실수를 쉽게 복구할 수 있고 여러 사람이 협업하는 경우 각자의 작업을 병합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VCS에는 Git, SVN, Mercurial 등이 존재한다. 버전..
버전 관리란? '버전 관리(Version Control)'는 파일 변경 사항을 시간에 따라 기록하고, 필요할 때 특정 버전을 다시 호출할 수 있는 시스템을 일컫는다. 간단히 설명하자면 동일한 정보에 대해 여러 버전을 정의하고 관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분야에서는 일반적으로 소프트웨어의 소스 코드의 변경 사항을 추적한 내역을 '버전 관리'라고 칭한다. 하지만 이는 주로 과거의 관습이고, 최근에는 소프트웨어 구성을 이루는 소스 코드 뿐 아니라 각종 환경, 설정 파일등을 모두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구성 관리(SCM, S/W CM; Software Configuration Management)라는 확장된 개념이 등장되었다. 이를 주로 형상 관리라고도 한다. - 관련 용어 정리 - 버전 관..
이전글 2023.05.16 - [본업/Database] - [PostgreSQL] Ubuntu Linux PostgreSQL 사용법 - #2-1 postgresql.conf 서버 구성 파일 설정 이전 글에서 PostgreSQL을 사용하는데에 있어서 필요한 설정 중, 데이터베이스 서버측 설정을 진행했었다. 따라서 이번 글에서는 데이터베이스 서버 측이 아닌 서버에 접속하는 클라이언트 관련 설정들 중 인증(authentication)에 관한 설정을 진행한다. 일반적으로 이 작업은 외부에서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해 PostgreSQL 서버에 접속하기 위해 처음 접하게 될 것이다. (나 또한 그렇고) 예) DBeaver로 접속, pgAdmin/Web으로 접속 등 Client Authentication 이번 글에..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